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For.knowledge/주식공부'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For.knowledge/주식공부67

집단 지성과 주식의 상관관계(feat.재.막.아) 주식시장에 참여하는 많은 사람은 스스로의 판단에 근거해 한 회사의 현재 가치를 어림한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한 회사의 미래 성장 가능성까지 모두 반영한 현재 가치를 알 수 있을까? 개인이 아닌 집단이 움직이면 알 수 있지 않을까? 마치 집단지성을 통해 완성된 위키피디아처럼 말이다. 이번 시간에는 집단지성과 주식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개별 회사의 주가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개별 회사의 주가는 어떻게 결정될까?? 고전 경제학에서는 한 회사의 주가를 그 회사가 미래에 거둘 수익을 현재 가치로 환산해 더한 값이라고 이야기한다. 문제는 당장 내년도 아니고, 내후년 혹은 10년 뒤, 심지어 50년 100년 뒤 회사가 얻을 수익을 그 누가 알겠느냐는 것이다. 적정 가격이라고 샀는데, .. 2022. 12. 20.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뭔데 그렇게 난리일까???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라는 단어가 요즘 주식시장과 각종 언론을 지배하고 있다. 개미투자자들은 전전긍긍하며 금투세를 없애 달라고 이야기를 하고, 2023년 유예로 결정돼서 한숨은 돌리게 되었지만 더불어민주당, 국민의 힘 등 정쟁으로 까지 번진 뜨거운 감자 금투세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금투 세는 무엇일까? 금융투자소득세의 줄임말로 주식, 펀드, 채권, 파생상품 등 금융투자와 관련해서 발생한 일정 금액이 넘는 양도 소득에 대해서 20~25% 비율로 과세하는 제도이다. 만들어진 것은 2020년에 미리 제정된 법이고, 그 시행이 2023년으로 예정되어 있었는데, 2025년으로 유예가 되었다. 왜 갑자기 이렇게 뜨거운 화두가 된 것일까? 예전엔 이런 제도가 없었는지 의문이 들 수가 있는데 기존에는 코스피 시장을 기.. 2022. 12. 20.
제조업의 미래를 알려주는 'PMI(구매관리자지수)' 알아보기 제조업의 미래를 알 수 있는 구매관리자 지수라고 제목을 썼지만 그런데 왜 하필 구매관리자에게 설문조사를 하는 걸까? 제조업 회사들은 제품에 대한 수요 변화를 정확히 예상하고 신속하게 대응하여 자재 구매를 늘리거나 줄여야 한다. 이처럼 회사 공급망의 최전선에서 수요 변화를 예측하고 공급량을 조절하는 사람들이 바로 구매 관리자이기 때문이다. 이번 시간에는 구매관리자 지수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Puchsasing Managers Index PMI는 말 그대로 구매관리자지수를 말하는데, 매달 400개 이상 기업의 구매 대상자를 대상으로 매달 신규 주문·생산·재고·출하 정도·지불 가격·고용 현황 등이 저번달에 비해 어떻게 변했는지 설문 조사해서 산출이 된다. PMI 종류는 제조업 PMI, 서비스 PMI, 병원 P.. 2022. 12. 18.
미국 10년 물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5분만에 알아보기 주식시장을 미리 볼 수 있다는 장단기 금리차를 아시나요? 장단기 금리차는 말 그대로 장기금리와 단기금리의 차이를 말한다. 좀 더 자세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채권'을 알아야 합니다. 채권은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빚에 대한 종이라는 뜻으로, 차용증과 비슷한 의미입니다. 다만 차용증은 개인과 개인 간에 작성하는 문서라면, 채권은 신용도가 높은 국가나 주식회사에서 발행하는 차용증이죠. 이번 시간에는 장단기 금리차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만기에 집중하다 차용증에도 만기가 있듯이 채권에도 만기가 있습니다. 만기에 따라서 받을 수 있는 채권금리가 달리지는데, 만기가 긴 채권금리는 장기금리, 만기가 짧은 채권 금리는 단기금리라고 부릅니다. 일반적으로 장기금리는 단기금리에 비해 금리가 높습니다. 만기.. 2022. 12. 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