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or.knowledge/주식공부67 파생 금융 상품의 종류들과 CFD와 선물의 차이점 뉴스에서 파생상품의 위험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많이 하고 있는데요. 주식을 조금만 공부하게 되면 함께 나오는 파생금융상품(financial derivatives)이라고 하는 것은 그 가치가 통화, 채권, 주식 등과 같은 기초금융자산(underlying asset)의 가치 변동에 의해 결정되는 금융상품을 말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파생금융상품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계약의 형태부터 짚고 넘어가기 먼저 무슨 상품이든 이용을 하려면 계약이 필요한데요. 부동산 계약처럼 금융에서의 상품도 계약이 필요합니다. 파생금융상품은 계약 형태에 따라 크게 선도계약(forward contracts), 선물(futures), 옵션(options), 스왑(swaps) 등으로 구분이 됩니다. 계약 형태 별 특징을 .. 2023. 5. 13. 고위험 펀드에 투자를 하면 세금을 감면해준다?(feat. 하이일드 펀드) 23년 6월 12일부터 내년 말까지 1년 6개월 정도의 기간 안에 고위험 펀드인 하이일드 펀드에 가입하면, 3년 동안 분리과세 혜택을 주기로 결정했습니다. 하이일드 펀드에 가입해서 1년 이상 유지하면 투자액 3,000만 원까지는 지방세를 포함해서 15.4%만 세금을 매긴다고 하는데요.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하이일드 펀드란? 용어만 보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이는 높다라는 뜻이고, 일드는 채권에서의 수익률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즉, 이 둘을 합쳐서 이야기해보면, 높은 수익률의 채권이라는 뜻이 됩니다. 하지만 주식은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채권은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알고 있는데요. 그럼 고수익 채권은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일까요? 하이일드 펀드는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가 발행하는 채권을 담고 있는 펀드.. 2023. 5. 11. 임창정부터 박혜경 너머 회장들까지 난리난 SG증권발 CFD란 무엇일까? 이번 시간에는 연일 하한가 행진으로 인해 요즘 증권가에서 가장 핫한 SG증권 발 CFD 사태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초등학생도 알기 쉬운 수준으로 왜 사람들이 CFD 투자 방식을 선택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Contract for Difference의 약자인 CFD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Contents 1. CFD와 이번 사태 요약 2. 예시 3. 한 줄 요약 기업의 미래가치는 관심이 없고, 주식의 변동에만 관심 있는 고 위험 투자 CFD란 Contract for Difference의 약자로, 미래의 자산 가격변동에 대한 계약을 말합니다. 즉, CFD는 투자자와 CFD 공급자 간의 계약으로, 어떤 자산의 가격이 상승 또는 하락할 때, 그 차액을 계약에 따라 서로 정산하는 것입니다.. 2023. 4. 28. 가격변동충당금 용어의 뜻 알아보기 가격변동충당금이란? 가격변동충당금이란 상품 원자재 반제품 등 재고자산이나 일시적으로 소유하는 유가증권의 자산가치가 장차 하락함으로써 입을 손실에 대비하기 위해 준비하는 충당금이다. 가격변동준비금으로도 불린다. 설정된 충당금은 일정 한도 내에서 기간비용으로 산입할 수 있다. 즉 장차 입을 우려가 있는 자산 손실에 대비해서 설정되는 것이기에 비용의 전체 산정에 들어가지 않는다. 가격변동충당금 설정에는 보통 세가지 방식이 있다. 당기이익에 부과, 이익잉여금 계정에 부과, 대차대조표에는 부채로 표시하고 손실에는 계상하지 않는 방식이다. 이익잉여금 계정에 부과하는 방식이 타당성을 갖는다. 2023. 4. 23. 이전 1 2 3 4 5 ··· 1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