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or.knowledge/주식공부67 재테크의 3원칙 아시나요? 재테크란?? 재테크란 재무(한자) 테크놀러지(영어)를 줄여서 쓴 말입니다. 자신의 보유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최대의 이익을 창출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EX 금테크, 부동산재테크, 은테크, 레고테크) -재테크 신삼인방?? 요즘같이 은행 예금 금리가 제로에 가까울때 (낮을때) 새롭게 각광받는 세 가지의 재테크 수단. 해외 채권과 원금 보장형 ELS, 인프라 펀드 가 이에 속합니다. 재테크원칙 핵심요약 ★재테크의 핵심 3원칙은? 1.수익성 2.안정성 3.유동성(환급성) 이제 밑으로 내려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수익성 = 수익을 얼마나 내는가? 의 문제로 미래의 내 자산가치를 생각할때 그 투자대상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가져다 주는가에 대한것이 재테크의 시작입니다. ★안정성 = 내가 투자를 했으면 원금.. 2021. 2. 3. 미래의 투자처 파헤치기(ft.그린본드,탄소배출권,ESG) 네이처 수록 연구…"지속적 기온 상승을 온난화가 부채질" WMO "북극권서 38도, 충격적" 요즘 이상기온으로 참 추운겨울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뉴스들이 난무하고 있는 요즘 여러분들이 관심을 집중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탄소배출권 입니다! 탄소배출권이 언급된 배경 및 정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채택한 의정서인 '교토의정서'의 3가지 제도에 따라 탄소배출권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1. 공동이행 : 선진국이 공동으로 투자하여 발생된 온실가스 감축분의 일정분을 배출 배출 저감 실적으로 인정하는 제도. 2. 청정개발체제 :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투자하여 발생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분을 자국의 감축 실적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3. 배출권 거래 : 온실가스 감축.. 2021. 1. 30. 이것만 보면 그만 찾아봐도됩니다.(Feat.전환사채 ) 회사가 돈을 구하는 방법 1. 은행, 금융권 대출 회사가 개인과 마찬가지로 돈이 필요한 경우에 가장 쉬운 방법은 은행, 금융권에서 돈을 빌리는 경우입니다. 하지만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금융권에서는 돈을 빌리기 위해서는 담보나 신용이 높아야 합니다. 하지만 담보가치는 개인 아파트와 다르게 상업건물, 공장과 부지의 담보 가치는 낮습니다. 개인주택, 상가만 해도 아파트와 달리 대출이 많이 나오지 않는 점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은행에서 빌릴 수 있는 돈보다 더 많은 돈이 필요하거나, 아예 돈을 빌릴 수 없는 경우에는???? 은행이 아닌 다른 곳에서 빌리면 됩니다. 2. 채권 일반인이 다른 개인에게 돈을 빌리는 경우가 있듯이, 회사들도 꼭 은행이 아니더라도 돈을 빌릴 수 있습니다. 회사는 어딘가에서 빌려도 되.. 2021. 1. 19. 당신의 평균은 어디인가요(이평선 정리) 이동평균선은 해당 기간 동안 투자자의 평균단가입니다. 현재 가격과의 차이로 주가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 큰도움을 줍니다. 주가이동평균의 개념 이동평균 : 평균을 이동하며 구하는 것으로, 추세를 구할때 사용 이동평균의 값은 2가지 요소로 결정되는데 가격과 시간, 즉 평균가격과 그 평균을 내는 시간입니다. 주가 이동평균은 어떤 일정기간 동안에 이루어진 주가의 연속적인 변동과정에서 일일변동과 같은 시장의 일시적인 영향, 아니면 조작이 가능한 비정상적인 변동의 영향을 줄여서 전체주가의 흐름을 평준화한 상태로 유도해서 주가의 흐름을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평균화해서 도표상에 옮겨 놓은 것입니다. 기간에 따라 5일 이평선 : 단기추세 20일/60일 : 중기 추세 120일/240일 : 장기 추세 5일 이평선을 .. 2021. 1. 17. 이전 1 ··· 13 14 15 16 1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