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or.knowledge/주식공부67 스팩(SPAC)의 뜻과 장단점 완전 쉽게 이해하기 이번 시간에는 주식에서 흔히 나오는 스펙(SPAC)에 대해서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무슨 줄임말 같은데, 투자는 망설여지고, 정확한 설명이 없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 글을 통해서 스펙에 대해서 정말 쉽게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셨으면 좋겠습니다. 스펙 정말 쉽게 이해하기 지금 시작합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용어설명 스팩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스팩의 위험성 2가지 스팩이 이루어진 주 스팩(SPAC) 뜻 알고 가기 스팩(SPAC) Special Purpose Acquisiton Company 는영어 뜻 그대로 해석하면 S특수 P목적 A인수 C회사로 만드는 제품도 서비스도 없이, 오로지 기업 인수·합병(M&A)만을 위해 존재하는 페이퍼 컴퍼니입니다. 1990년대부터 존재해 온 용어지만, 최.. 2023. 7. 11. 시간 외 매매 하는 방법 정리합니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에서는 거래일마다 정규 매매 시간대인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 앞 뒤로 거래를 하는데요. 이것을 시간 외 매매(거래)라고 합니다. 코넥스에서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에서 하는 시간 외 거래 중 일부만 하고, 장외시장인 K-OTC에서는 아예 하지 않습니다. 정규 매매나 동시호가 매매와 성격이 다른 거래인 시간 외 매매에 대해서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외국인, 기관, 큰 손은 시간 외 매매 방식이 다르다. 시간외 매매는 정규 매매나 동시호가 매매와 성격이 다른 거래인데요. 여기서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에서 개인이 참가할 수 있는 시간 외 매매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시간 외 매매 중에는 외국인과 기관이나 거액의 투자자가 참가하는 시간 외 매매도 있는데, 소액 투자자와는 시간대나 매.. 2023. 6. 7. 영구채 한번에 파악하기 영구채(Perpetual Bond)라고 하는 영구 전환사채는 원금을 상환하지 않고, 말 그대로 영구히 이자를 지급하는 회사채를 말한다. 최초 발행 시 만기가 정해져 있지만, 만기가 도래해도 자동으로 만기 연장이 되거나, 발행회사가 만기를 연장할 수 있는 권한을 준다. 빚이 자본이 되는 순간이다. 영구채의 특성은? 영구히 이자를 지급하는 회사채로, 주식처럼 만기가 없거나 매우 길고, 채권처럼 매년 일정한 이자를 줘서 초반에는 채권으로 분류해야 하는 것이 아닌지에 대한 10여 년 전 논란이 있었으나 자본으로 인정이 되어서 오늘날 '하이브리드 채권'이라 불린다. 이후에 영구채는 항상 자본으로 분류되고 다른 말로 '신종자본증권'이라고도 한다. 영구채에 적용되는 독특한 이자 영구채는 위에서 말했듯이 만기가 30년.. 2023. 6. 3. 이동평균선 공식과 단순,가중,지수 설정 및 매매기법 주가 평균선은 특정 기간 동안 주식의 평균 가격을 보여주기 위해 차트에 표시된 선입니다. 주가 평균선의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단순이동평균선(SMA)과 지수이동평균선(EMA)입니다. 이번시간에는 가격이동평균선과 지수이동평균선의 차이와 종가와 지수기준으로 설정했을 때 나타나는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단순 이동평균(SMA) 단순 이동 평균은 50일 또는 200일과 같은 특정 기간 동안 주식의 종가를 더한 다음 해당 합계를 해당 기간의 일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이렇게 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트에 표시할 수 있는 단일 평균 가격이 생성됩니다. SMA는 주식 시장의 추세를 파악하는 데 널리 사용됩니다. 지수 이동평균(EMA) 지수 이동 평균은 최근 가격에 더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근 가격 변동에 .. 2023. 6. 3. 이전 1 2 3 4 ··· 1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