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or.knowledge/경제용어88 가격 파라미터적 기능 뜻 알아보기 가격 파라미터적 기능이란? 자유경쟁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는 시장에 있어서 개개의 수요자나 공급자는 상품의 가격을 자기 마음대로 조작할 수 없다. 예를 들면, 1 개인만이 다른 수요자보다 값싼 가격으로 상품을 사려 해도 그렇게 할 수는 없다. 가격은 개인적인 입장에 있어서는 본인의 의지나 의사와는 독립적으로 주어진 것이라고 간주된다. 그러나 시장에 있어서의 가격은 부동인 것이 아니고 총 수요량과 총 공급량과의 관계에 의해서 변동한다. 즉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초과수요) 가격은 등귀하고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면(초과공급) 가격은 하락한다. 가격의 이러한 성질, 다시 말하면 개인에 대해서는 주어진 것이지만 수급량의 관계에 따라서 변동하며 수급량이 서로 같아지도록 유도해가는 역할을 가격의 파라미터적 기능이라고 한.. 2023. 4. 23. 가격 메커니즘 뜻 알아보기 가격 메커니즘이란 상품가격은 살 사람과 팔 사람 즉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공급이 수요보다 상대적으로 크면 가격이 내리고 반대로 수요가 공급보다 크면 가격은 오른다. 거꾸로 가격이 올라가면 수요가 줄고 공급은 늘어나 새로운 수급균형이 이뤄진다. 이 같은 조정기능이 가격메커니즘이다. 그러나 이는 충분히 많은 시장참가자가 누구에게나 공개된 시장정보를 가지고 자유롭게 행동하는 완전경쟁 상황에서 가능하다. 이 가격메커니즘이 애덤 스미스의 말대로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결정돼 시장경제 시스템 전체의 후생을 극대화할 수 있다. 만약 진입장벽, 정보 비대칭 등으로 인해 완전경쟁시장 요소를 저해한다면 시장가격이 왜곡된다. 이 경우 생필품 사재기, 부동산 투기, 주가주작 등 정보를 조작하거나 악용하는 사태가 발생.. 2023. 4. 22. 가격규제 뜻 알아보기 가격규제란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의 가격이나 서비스 요금을 직접적으로 규제하는 것을 말한다. 가격규제는 상품의 가격뿐만 아니라 공공요금, 협정요금, 임대료, 사용료, 입장료, 임금, 이자 등도 그 대상이 된다. 공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경우에는 이윤율의 상한선을 규제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역시 가격규제의 일종이다. 가격규제에는 최고가격제(price ceiling)제와 최저가격제(price floor)가 있다. 최고가격제는 정부가 현재의 시장가격이 지나치게 높다고 판단하고 그보다 낮은 수준으로 가격을 통제할 때에 이용된다. 최저가격제는 가격의 급격한 저하로부터 생산자를 보호하거나 최저임금제처럼 경제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이용된다. 시장경제에선 사려고 하는 수요량과 팔려고 하는 공급량이.. 2023. 4. 22. 가격 고시 뜻 알아보기 가격고시란 증권시장, 외환시장 및 무역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용어로서 시세기준가격, 가격산정 등의 의미로 통용된다. 증권시장에서는 거래되는 유가증권의 매매계약이 체결될 때의 가격을 가리킨다. 외환시장에서는 각종 외환을 알리는 외환시세를 말한다. 무역에서는 채산성의 기초가 되는 제시가격을 의미한다. 정부는 국민의 안정적인 경제생활을 도모하기 위해 중요한 재화나 서비스에 가격을 고시한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창궐할 때 마스크에 대한 최고가격 통제, 부동산 대출 상한제나 임대료 상승률 제한 등도 고시가격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한시적으로 그쳐야 하며 긴급상황이 소멸되는 즉시 정부는 이를 폐지하고 국민에게 고시해야 한다. 정부에서 공시하는 표준지 단위면적당 가격, 즉 공시지가도 고시가격이다. 지하철 .. 2023. 4. 22. 이전 1 2 3 4 5 6 ··· 2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