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상증자2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감자 개념 1분만에 이해하 뉴스를 보다 보면 XX주식이 유상증자, 무상증자를 했다는 소식을 종종 접하게 됩니다. 증자는 말그대로 주식을 늘린다는 이야기인데, 투자자들 사이에서 유상증자는 보통 악재, 무상증자는 보통 호재라고 생각합니다. 밑에서 그 이유에 대해 가장 쉽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정의로 알아보면 유상증자: 신주를 발행하며 인수자에게 대가를 받는 것, 무상증자: 신주를 발행하지만 대가를 받지 않고 기존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것의 차이가 있습니다. 유상증자는 돈을 빌릴 여력이 부족해 기존 주주들에게 대가(돈)를 더 얻는다는 측면에서 악재지만, 무상증자는 돈을 충분히 벌어서 기존 주주들에게 무상으로 주식을 더 나누어준다는 측면에서 호재로 불립니다. 장기적으로는 자본의 증가는 기업에 좋은 일입니다... 2023. 1. 1. 기업들이 가장 선호하는 자금조달방식(feat. 증자) 기업을 운영하는데는 돈이 필요합니다. 그런 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열에 7~8군데는 유상증자를 많이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기업들이 가장 선호하는 자금 조달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유상증자란, 기업이 사람들에게 주식을 주고 현물 자금(돈,부동산, 타주식 등)을 확보하는 것. "나는 지금 돈이 없다."라는 시그널을 시장에 보내는 것. 주주 입장에서는 주식 수가 늘어난 만큼 주식가치가 하락하게 되어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안이지만, 개미투자자라면 큰 상관이 없습니다. 유상증자로 인해 자신의 지분율이 감소되는 것을 '지분희석' 이라고 합니다. 돈을 마련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 1.회사 명의의 채권(회사채)을 발행 2.은행에서 대출 3.주식을 추가로 발행하는것(증자) 경영권.. 2021. 1. 1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