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금융공부'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융공부6

테이퍼링은 진짜 무서운 것일까? 2021~2022년은 테이퍼링의 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미국 연준의 테이퍼링 소식에 각종 미디어, 언론, 신문, 방송매체 등에서 계속 다루었다. 테이퍼링, 도대체 나랑 무슨 상관일까? 이번 시간에는 테이퍼링을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다. Fed 발표에 증시는 흔들흔들 초보 투자자라면 우리나라도 아닌 미국이 테이퍼링을 한다는데 나랑 무슨 상관인가에 대해서 생각을 많이 해봤을 것이다. 하지만 전세계의 경제는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 투자자에게 까지 영향이 오는 것이다. 심지어 투자자가 아니더라도 대출을 받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연관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알아야 한다. 테이퍼링의 의미와 영향, 그리고 우리는 그 과정에서 어떠한 준비를 해야 하는지 알아보겠다. 중앙은행이 물.. 2022. 12. 15.
환율 개념 한번에 잡아드립니다 전 세계적으로 시장이 불안정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경제적 자유를 외치기 위해서 지금 상황으로 보면 분명 어떤 이에게는 기회의 장어떤 이에게는 힘든 시간이 될 것인데, 이번시간에는 중요한 환율의 개념을 한 번에 잡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앞으로의 기회도 놓치지 않기 위해서 함께 공부해봅시다! 환율의 정의와 설명 두 나라 화폐 간의 교환비율, 자국 통화와 타국 통화 간의상대적인 교환비율을 말한다. 들어도 매번 헷갈리던 환율과 금리에 관한 이야기들입니다. 이번 시리즈에서는 원화 약세˙강세의 개념, 환율과 주가의 움직임, 금리의 채권과의 관계, 마이너스 금리의 성립 원리 등을 설명하겠습니다. 1. 원화의 약세와 달러의 강세란? 먼저 원화가 강세냐, 약세냐? 는 원화의 가치를 뜻해요. 즉 외국 돈과 비교했을 때.. 2022. 11. 22.
환율과 주가의 관계(feat. 환차손의 이해) 왜 환율이 상승(원화약세)하면 주가가 떨어질까??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주식을 판 뒤 환전하는 과정에서 환차손(환율변동에 따른 손해)이 발생합니다.예를 들면 해외주식을(주가가 그대로란 가정하에) 1달러 1,100원에 샀는데 1달러 1,000원에 팔게 되는 경우 환차손이 100원이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해외주식의 리스크입니다.) 이번시간에는 환율과 주가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주가는 무조건 하락한다? 원화 약세는 한국 경제가 좋지 못하다는 뜻이 되어서외국인들이 주식시장에서 주식을 팔고 떠나려하겟죠그래서 환율이 상승하면 주가가 떨어집니다. 보통 환율이 상승(원화 약세)하면 주가가 떨어진다고 하는데 1,000원짜리 주식이 있을 때 1달러에 1,000원이면 주식 1주를 살 수 있지만 .. 2022. 11. 21.
물가 상승은 정부를 웃게할까? 요즘 물가 상승이다 인플레이션이다 말이 많은데요 저희에게는 직접적인 물가 상승이 장을 보고, 생활하는데도 부담이 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물가를 잡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는 정부에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물가 상승이 정부의 채무 부담을 완화 시킨다? 물가가 크게 오르면 화폐가치는 떨어집니다. 예전 노트북의 가격이 1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오르면 200만원의 가치는 예전 100만원 수준에 불과해지는 것입니다. 이처럼 화폐가치가 떨어지면 정부채무 실질 평가액도 작아집니다. 액면금액은 그대로지만 화폐가치가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기 때문에 갚는 것이 매우 용이해집니다. 물가가 크게 오르면 부동산 등 실물 자산가치는 그에 맞춰 오르기 마련입니다. 즉 자산가격은 화폐가치 변화와 반대로 움직입니다... 2022. 11.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