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경제용어'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용어6

가격전가율 뜻 알아보기 가격전가율이란? 환율변동에 따른 수출가격의 변화율을 환율에 대한 가격전가율이라고 한다. 환율의 변동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수출가격에 대한 것과 수출물량에 대한 두 가지로 나눠 생각할 수 있다. 즉 환율상승으로 수출가격이 올라가고 수출물량도 늘어난다. 이 때 가격전가율은 환율변화율에서 원화수출가격지수화율을 뺀 값을 환율변화율로 다시 나누는 방식으로 계산한다. 환율 변동에 따라 국내물가가 상승하는 것도 기업의 가격전가에 속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환율의 물가전가율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적으로 낮아졌다가 2020년에는 제로에 가까웠다. 이후 다시 높아져 2022년 1분기에는 0.06으로 높아졌다. 코로나 사태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공급망이 교란돼 환율이 높아지고 수입물가도 올라 기업들.. 2023. 4. 24.
가격규제 뜻 알아보기 가격규제란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의 가격이나 서비스 요금을 직접적으로 규제하는 것을 말한다. 가격규제는 상품의 가격뿐만 아니라 공공요금, 협정요금, 임대료, 사용료, 입장료, 임금, 이자 등도 그 대상이 된다. 공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경우에는 이윤율의 상한선을 규제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역시 가격규제의 일종이다. 가격규제에는 최고가격제(price ceiling)제와 최저가격제(price floor)가 있다. 최고가격제는 정부가 현재의 시장가격이 지나치게 높다고 판단하고 그보다 낮은 수준으로 가격을 통제할 때에 이용된다. 최저가격제는 가격의 급격한 저하로부터 생산자를 보호하거나 최저임금제처럼 경제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이용된다. 시장경제에선 사려고 하는 수요량과 팔려고 하는 공급량이.. 2023. 4. 22.
가격 고시 뜻 알아보기 가격고시란 증권시장, 외환시장 및 무역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용어로서 시세기준가격, 가격산정 등의 의미로 통용된다. 증권시장에서는 거래되는 유가증권의 매매계약이 체결될 때의 가격을 가리킨다. 외환시장에서는 각종 외환을 알리는 외환시세를 말한다. 무역에서는 채산성의 기초가 되는 제시가격을 의미한다. 정부는 국민의 안정적인 경제생활을 도모하기 위해 중요한 재화나 서비스에 가격을 고시한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창궐할 때 마스크에 대한 최고가격 통제, 부동산 대출 상한제나 임대료 상승률 제한 등도 고시가격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한시적으로 그쳐야 하며 긴급상황이 소멸되는 즉시 정부는 이를 폐지하고 국민에게 고시해야 한다. 정부에서 공시하는 표준지 단위면적당 가격, 즉 공시지가도 고시가격이다. 지하철 .. 2023. 4. 22.
도시형 생활주택? 완전 쉽게 이해하기 건설사도, 수요자도 군침을 흘리다 가구당 전용면적 85제곱미터 이하이며, 300가구 미만의 국민주택 규모에 해당하는 주거지를 도시형 생활주택이라고 부릅니다. 우리 모두에게 익숙한 아파트는 '도시 및 주거정비법'에 의하여 규제되지만, 이런 도시형 생활주택에는 '주택법'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분양가상한제나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고분양가 심사 대상에서 제외되어, 분양가가 아파트가 높게 책정됩니다. 건설사와 소유자들이 위에서 언급한 매력적인 특징을 지녔을 뿐 아니라 규제도 덜 받는 도시형 생활주택 쪽으로 눈을 돌리는 것은 당연해 보입니다. 특징은??? - 분양가 상한제 등 각종 부동산규제에서 더 자유롭다. - 입지도, 교통 여건도, 주변 환경도 전반적으로 탁월하다. 상권이 잘 발달했고, 생활 인프라가 잘 .. 2022. 11.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