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제조업자가 판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PPI는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선행지표로, PPI가 상승하면 CPI도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PPI는 경제의 물가 압력과 경기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생산자 물가지수 PPI 뜻
국내시장의 제1차 거래 단계에서 기업 상호간에 거래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적인 가격 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이 되는 물가지수로서 그 대상품목의 포괄범위가 넓어 전반적인 상품과 서비스의 수급동향이 반영된 일반적인 물가 수준의
변동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목적지수로서의 성격을 갖습니다. 지수작성에 이용되는 가격은 제1차 거래 단계의 가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생산자가 제품 한 단위당 실제로 수취하는 기초가격입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1910년부터 한국은행에서 작성해 오고 있습니다.
실제 통계청 자료
통계표
의미분석 - 국내출하액이 모집단금액의 1/10,000 이상인 781개 상품, 서비스의 경우 1/2,000 이상인 거래비중을 갖는 103개 품목
■ 의의 및 활용도
국내생산자가 국내시장에 공급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통계로서 경기동향 판단지표, GDP 디플레이터 등으로 이용됨 (예 : 08년 7월 전월비 1.9% 상승은 08.7월 소비자물가지수가 08.6월 대비 1.9% 상승한 것을 나타냄)
전년동월비 상승률
전년도 같은 달과 비교한 금월의 물가 수준 변동률 (예 : 08년 7월 전년동월비 12.5% 상승은 08.7월 소비자물가지수가 07.8월 대비 12.5% 상승한 것을 나타냄)
전월(년) 비 상승률
전월(년)과 비교한 금월(년)의 물가 수준 변동률
■ 수치해석 방법
° 국내에서 생산하여 국내시장에 출하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요금(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공장도 가격)
의 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하는 지수 (기준연도 2015년=100)
![](https://blog.kakaocdn.net/dn/cer5FE/btrQHBpNLT1/CPKIFVIvQfcJgDna6TLiZ0/img.png)
■ 생산자물가지수 개념
○ 지표해석
공 산 품
석탄 및 석유제품(-8.6%),전월 대비 1.4% 하락
서 비 스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0.9%), 금융 및 보험서비스(0.9%) 등이 올라 전월 대비 0.3% 상승
전력, 가스,수도 및 폐기물
전력,가스 및 증기(4.6%)가 올라 전월 대비 3.6% 상승
농림수산품
수산물(-0.5%)이 내렸으나, 농산물(3.8%), 축산물(2.1%)이 올라 전월대비 2.5% 상승
□ 2022년 8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력, 가스, 수도 및 폐기물(3.6%), 서비스(0.3%) 등이 올랐으나, 공산품(-1.4%)이 내려 전월 대비 0.3% 하락(전년동월대비 8.4% 상승)
■ 최근 생산자 물가 동향 및 분석
○ 유의사항
생산자물가지수는 가격의 변동추이 측정이목적으로 가격의 절대 수준을 나타내지 않음 생산자물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는 지수 수준의 비교는 가능하나 생산자 판매단계와 소매단계의 마진을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는 없음
○ 용어해설
생산자물가지수 :국내에서 생산되어 국내시장에 출하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 요금(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공장도가격)의 변동을 측정하기 위해 작성되는 지수
지표정보
○ 작성방법상품 부문 781개, 서비스 부문 103개 등총 884개 품목조사
○ 자료출처
출처 : 『생산자물가지수』(매 익월 15일경)
통계생산기관 :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
통계주기 : 매월
○ 연관지표 - 소비자물가상승률
정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소비자물가지수의 전년 대비 변화율임. 소비자물가지수는 가구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지수로서 총 소비지출 중에서 구입 비중이 큰 약 460여 개 상품 및 서비스품목들을 정하고 이를 대상으로 조사된 소비자구입가격을 기준으로 산정됨. 가구의 소비구조 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5년 주기로 지수를 개편함.
![](https://blog.kakaocdn.net/dn/pK1r3/btrQJuC8LUg/CHyrBgr168vOkkleRRKQBk/img.pn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