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맥도날드 수술, 자궁경부 길이와 조산위험의 관계는?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맥도날드 수술, 자궁경부 길이와 조산위험의 관계는?

by 오늘의 TIP 2024. 12. 1.
반응형

임신을 하셨는데 자궁경부암 진단을 받아 원추절제술을 하고 자궁경부무력증으로 맥도널드 수술을 고민하시는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저 또한 해당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인해 맥도널드 수술을 고민하였기 때문에 이와 같은 글을 적어보게 되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면 맥도널드 수술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목차(T.O.C)
1. 자궁경부무력증이란
1-1. 자궁경부무력증 원인
1-2. 자궁경부무력증 치료 3가지
2. 맥도날드 수술에 대해서
2-1. 맥도날드 수술후 관리
2-2. 자궁경부 길이와 조산위험의 관계
3. 총정리 우리의 결론

자궁경부무력증이란

 

임신 중 자궁경부가 진통이나 자궁수축 없이 열리고, 결과적으로 임신 28주 이전에 태아가 나오는 질환을 말하는데요. 자궁경부무력증은 임신 2기(14주~26주)와 3기(27주~40주) 초기에 자궁경부 무통성으로 열리면서 태아와 그 부속물이 배출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1-1. 자궁경부무력증 원인

 

원추절제술 수술 도구 파란천 위에 올려진 가위, 망치 등 의료용 수술도구들
수술용 의료기구

정확한 원인은 아직 잘 모르지만 선천적인 자궁경부 이상, 과거의 분만 혹은 유산과 관련된 자궁경부 손상, 자궁경부 원추 절제술, 자궁경부 소작술, 자궁경부절단술 등으로 인한 후천적 손상, 호르몬 불균형 또는 감염이 원인이 됩니다.

1-2. 자궁경부무력증 치료 3가지

 

자궁경부무력증의 치료로는 크게 3가지로 나뉘는데요. 예방적 자궁경부봉합술, 보존적 치료, 한의학적 치료가 있습니다.

  1. 예방적 자궁경부봉합술 : 임신 14주 전후에 자궁경부를 봉합사로 묶는 수술을 통해 조산이나 유산을 방지하는데요. 일반적으로 맥도날드 수술법을 사용하고, 질식으로 시술하지만, 필요에 따라 복식 자궁경부봉합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질식: 질을 통해 자궁경부를 봉합사로 꿰매는 수술 방식, 복식 : 복강 안에서 자궁경부를 꿰매는 영구적인 봉합법으로 복식의 경우 분만 시 제왕절개술만 가능)
  2. 보존적 치료 : 절대 안정이 필요하며, 자궁근이완을 위해 약을 복용하기도 합니다.
  3. 한의학적 치료 : 이미 경관이 열리고 양막이 노출된 상황에서 한약의 도움으로 몸을 만들어 임신을 시도하는 방법

통계적으로 자궁경부무력증은 전체 조산의 10%와 임신 중반기 태아 손실의 20~25%의 원인을 차지하는데요. 모든 분만의 0.05~2% 정도를 차지하며, 조산의 주요원인 중 하나지만 그렇게 흔한 편도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2. 맥도날드 수술에 대해서

 

태아 초음파사진과 빨간색 청진기
맥도날드 수술

이미 이 글을 읽어보시는 분들은 맥도널드 수술 후의 임신 결과에 대해서 궁금해서 들어오신 분인 경우인데요. 먼저 맥도널드 수술의 시행은 자궁 경부 길이에 따라 판단이 되는 게 우선입니다.

  • 적응증에 해당하는 경우 : 자연 조산의 과거력이 있는 산모에서 임신 24주 이전에 자궁경부 길이가 2.5cm 미만인 경우, 맥도날드 수술은 일반적으로 임신 유지와 조산 방지에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경우에 수술을 받으시면 임신 유지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적응증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 자궁경부 길이가 2cm 이상인 저위험군 산모에서 맥도날드 수술을 받은 경우, 28주 이전 조산 및 신생아 이환의 위험도가 약 4배 정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한 태반 염증과 관련된 위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불필요한 수술이 추가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자궁경부무력증의 진단 시기에 이와 관련한 의료보험이 되는지 여부도 많이 궁금해하실 겁니다. 대부분의 보험약관에서는 일반적으로 O코드로 분류됩니다. 이 코드는 보상하지 않는 손해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맥도날드 수술을 받은 후에도 양수막이 파열할 수 있습니다. 의외로 이러한 경우도 빈번하게 있기 때문에 맥도널드 수술을 받았다고 해서 확실하게 안전하다고 확신을 할 수 없는 사항입니다.

2-1. 맥도날드 수술 후 관리

 

일반적으로 맥도날드맥도널드 수술 후 입원 기간은 2-5일 정도이며, 맥도널드 수술 후 일반적으로 절대 안정과 감염 예방을 위해 상생제 치료를 병행할 수 있으며, 수술 후 통증을 관리하기 위해 국소 마취제나 아편유사제가 최소한의 기간과 양으로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자궁 수축을 억제하기 위한 약물 치료가 시행될 수 있습니다. 즉 감염 예방과 항염증을 위해 정기적인 주사 치료가 시행될 수 있기 때문에 임신 중 약물에 대해서 부정적인 분의 경우 추천하지 않습니다.

2-2. 자궁경부 길이와 조산 위험의 관계

 

자궁경부 길이가 짧아진 경우, 특히 임신 16~24주 사이에 2.5cm 또는 2.0cm 미만인 경우, 조산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지만 조산의 과거력이 없는 저위험 산모에서는 실제로 조산할 확률이 18~20% 정도로 5명 중 4명은 만삭에 분만합니다. 그렇기에 맥도널드 치료를 받지 않고, 대안적으로 프로제스테론 호르몬 치료를 일차적으로 권장하며, 태막이 탈출한 경우, 주기적인 양수천자를 통해 양수압력을 낮추는 방법 (21주~33주까지)을 사용합니다.


총정리

결론적으로 저희 가족은 맥도널드 수술을 받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첫 번째 맥도널드 수술 후 주기적인 주사제가 태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두 번째로는 자궁원추절제술 후 다시 맥도널드 수술에 대한 산모의 스트레스가 주는 태아의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거라는 판단, 세 번째 건강보험에 적용되지 않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는 의심과 실제 맥도널드 수술 후에도 양수가 파열되는 지인의 이야기까지 통합하여 저희는 결국 받지 않고, 지금도 건강히 남자 아기를 키우고 있는데요. 선택은 여러분의 몫이지만, 이 글이 여러분의 선택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