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뜨거운 음식, 짠맛을 잘 못 느끼는 이유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뜨거운 음식, 짠맛을 잘 못 느끼는 이유

by 오늘의 TIP 2023. 12. 4.
반응형

요리를 하다 보면 뜨거울 때는 짠맛이 덜 느껴 저서 자꾸 소금을 더 넣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 역시도 뜨거운 국물의 간을 볼 때 싱겁게 느껴져서 계속 소금을 넣다가 나중에 식고 나서 상당히 짰던 경험이 있는데요. 그 덕에 와이프는 국물의 간을 저에게 맡기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오늘은 왜 뜨거운 국, 짠맛을 잘 못 느끼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목차(T.O.C)
음식온도와 맛의 관계
체온과 음식온도의 차이
짠맛과 신맛을 못느끼면 질병일까?
미각소실이란?
미각소실 검사법
요리시 주의사항

음식온도와 맛의 관계

 

데스크위에 놓여져있는 김치찌개 관련 사진
김치찌개류

맛을 느끼는 미각 수용체는 혀의 표면에 분포하고 있는데요. 미각 수용체는 온도 변화에 민감하여, 온도가 높아지면 단맛을 더 강하게 느끼고, 짠맛과 쓴맛을 덜 강하게 느끼게 됩니다.

체온과 음식온도의 관계

 

우리의 정상 체온은 보통 36도에서 37도인데요. 음식의 온도가 체온과 가까울수록 온도 자극이 약해져 맛을 덜 느끼게 됩니다. 따라서 뜨거운 음식은 체온과 차이가 크므로 단맛을 더 강하게 느끼게 됩니다.

실험 내용

 

음식 온도와 맛의 실험결과에 따르면, 음식의 온도가 30도에서 50도로 상승하면 단맛의 경우 약 15% 증가하고, 짠맛은 약 2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짠맛과 신맛을 잘 못느끼면 질병일까?

 

혀와 미각소실 짠맛과 신맛과 질병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
혀의 미각은 사람에 따라 다릅니다.

짠맛과 신맛을 잘 못느낀다면, 선천적으로 짠맛을 정상적으로 느끼는 사람에 비해 미각 수용체의 수가 적거나, 수용체가 짠맛을 잘 감지 못하는 경우가 있거나, 미각소실을 의심해봐야 하는데요. 미각 소실이란 말 그대로 미각의 감각이 떨어졌다고 말하는 것인데요. 아래에서 미각소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미각소실의 세 가지 종류

 

미각소실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게됩니다. 

  • 미각감퇴 : 정상의 맛보다 덜 느껴지는 상태
  • 이상미각 : 정상의 맛과 다르게 느껴지는 상태
  • 미각과민 : 정상보다 매우 예민해지는 상태

미각소실은 보통 후각이 상실되면 동반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미각소실 단독으로 오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드문 케이스로, 미각소실의 흔한 원인은 약물로 항류머티즘 약제와 항암제가 대표적입니다. 또한 고혈압 약제인 '캡토프릴'도 미각장애를 일으키는 약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외에도 당뇨, 갑상샘기능저하증 등 내분비 장애 때문에 생길 수 있고, 다른 감각과 마찬가지로 나이 들면서 미각도 차츰 감퇴합니다. 

미각소실 검사법

 

이러한 미각소실 원인을 밝히기 위해 병력과 비강 및구강을 살펴 비염 존재, 혀와 침 분비 상태를 확인하며, 단맛, 짠맛, 신맛, 쓴맛의 4가지 기본 맛을 느끼는지 평가하며 반드시 후각검사를 병행합니다.


결론

 

뜨거운 음식을 먹을 때 짠맛이 잘 안느껴지는 이유
뜨거운 음식과 짠맛의 관계

이렇듯 뜨거운 국물의 간을 보게되면 어쩔 수 없이 본래의 간보다 더 싱겁게 느껴지게 됩니다. 따라서 요리를 할 때는 음식의 온도가 식으면서 짠맛이 강해질 수 있기에, 뜨거울 때는 짠맛을 적게 넣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미각소실의 경우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맛이 무뎌지게 되는 증상이며, 대체적으로 후각의 이상과 함께 나타납니다. 이렇게 오늘은 뜨거운 음식의 짠맛을 잘 못 느끼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