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애드센스 수익을 위해선 우선 애드센스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요. 승인을 받고 나서도 본격적인 수익화를 하기 위해서는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이 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구글 서치콘솔 등록을 위해서는 페이지 생성 등 여러 가지를 해야 하는데요. 먼저 서치 콘솔에서 나타는 오류의 내용과 내 글이 구글에 얼마나 등록되었는지 확인법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목차(T.O.C) 1.구글 페이지 색인 생성 오류 의미 2.구글에 내 글 얼마나 있는지 확인법 |
구글 페이지 색인 생성 오류의미
구글 서치콘솔에 들어가보면, 위와 같은 수많은 페이지들이 생성되지 않은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하나하나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구글 페이지 생성이 되지 않는 이유
구글 페이지 생성이 되지 않는 이유의 각 메시지별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찾을 수 없음(404) :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해당 서버로 부터 불러낼 수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 사용자가 선택한 표준이 없는 중복 페이지 : 카테고리를 클릭하고 들어가게 되는 글에서 많이 발생하는 경우나, 중복될 만큼 뭔가 비슷한 글이 있다는 경우
- 리디렉션이 포함된 페이지 : 없는 페이지라서 색인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입니다.
- 액세스 금지(403)로 인해 차단됨 : robot.txt에서 제한되고 있거나, 서버상 IP 차단 또는 방화벽 설정이 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 크롤링됨 - 현재 색인이 생성되지 않음 : 크롤링이 됐지만 현재 색인이 생성되지 않아 시간이 지나면서 생성이 된다는 의미지만, 100% 생성된다는 의미는 아니어서 따로 색인작업이 필요합니다.
- robots.txt에 의해 차단됨 : 정보 수집을 해도 되는 페이지가 무엇인지, 해서는 안 되는 페이지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txt 파일로 사이트 과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txt 파일을 별도로 올릴 필요가 있습니다.
- 발견됨 - 현재 색인이 생성되지 않음 : 발견은 됐지만 색인이 생성되지 않았다는 뜻으로 별도로 색인 요청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구글에 내 사이트 글 등록 개수 확인법
의외로 간단한 방법으로 구글에 내 사이트 글 등록 갯수 확인이 가능한데요. 그 비밀은 바로 site입니다. 구글 검색창에 site:xxxxx.tistory.com 자기 주소를 치고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나오게 됩니다.
이와 같이 구글 서치콘솔에서 애만 태우지 마시고, 간단한 사이트 검색을 통해서 어떤 글이 등록되었는지, 아닌지 확인하는 방법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상 구글에 내 사이트 글 등록 개수 확인방법과 구글 페이지 색인생성 오류의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