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공유기의 원리 파헤치기(IT 기본용어 공부 9)
본문 바로가기
For.knowledge/IT 공부

공유기의 원리 파헤치기(IT 기본용어 공부 9)

by 오늘의 TIP 2022. 11. 5.
반응형

지금은 보편화 되어있지만

한때 유행했던

와이파이 잘떠요???

KT의 선전 방법으로

유행어가 됫엇던

광고 문구였습니다.

오늘은 그 공유기에 대해서

파헤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PC와 스마트폰을 연결하는 공유기

광회선 등의 인터넷 연결 서비스를 계약해서

이용하려면 일단 회선종단장치가 있어야합니다.

 

컴퓨터에서 이용하는 디지털 신호와

광회선에 흐르는 신호는 다른데,

회선종단장치가 이를 변환해줍니다.

 

회선종단장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쓰는 회선에 연결된 장치.

 

 

회선종단장치에 컴퓨터 같은

단말을 직접 연결해도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지만,

한대뿐만 아니라 여러대의 단말기를 동시에

이용하고 싶다면

공유기라는 장치가 있어햐 합니다.

 

공유기는 무엇일까??

공유기는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로

중계와 전송을 하기 위한 장치인데요.

 

가정에서 이용할 경우, 가정내의 랜이라는

네트워크와 인터넷 서비스 업체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의

네트워크를 연결해 데이터를 중계합니다.

 

랜이란??

집, 사무실, 카페, 학교 등의

건물과 같이

가까운 지역을 네트워크 매체를 이용해서

하나로 묶는 근거리 통신망을 의미합니다

현재는 이더넷(Ethernet)을 주로 사용합니다

​이더넷???

이더넷은 한때 유행했던 빛의 전달 물질이라는

에테르(ether)라는 물질에서 유래했습니다.

 

인터넷과 이더넷이 비슷비슷한 단어라서

이더넷이라는 단어를 처음 접하는 사람은

인터넷을 쓰려다가 오타를 냈나

생각하기 쉽습니다.

인터넷은 네트워크로,

이더넷은 네트워크를 이루는

컴퓨터들의 통신 수단 중 하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인터넷은 교통, 이더넷은 도로로 치환해서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데요.

 

교통에서 도로는 절대적이지만

그것만으로 모든 교통이 이뤄지지 않습니다.

 

지상을 철도로,

해상을 선박으로,

상공을 비행기로도

교통이 이뤄질 수 있는 것이죠.

 

그를 통해 이동하는 차, 배, 비행기, 열차 교통수단,

교통 수단을 타고 다니는 승객, 화물을 통틀어 교통이 되는 것이므로.

 

그러니까 이더넷은 인터넷을 하기위한 수단 중 하나라고 보면 됩니다.

 

유선 방식인 이더넷말고도,

무선 방식인 와이파이나 3G, 4G(LTE), 5G 등 으로도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니까요.

스마트폰들은 인터넷은 되지만

이더넷은 기본적으로는 안됩니다. 

스마트폰에는 이더넷 단자가 없기 때문입니다. 

스마트폰에서 이더넷을 사용하고 싶으면

스마트폰과 호환되는 어댑터(컨버터)를

구매해서 연결하면 됩니다. 

 

단자가없을뿐이지 OS에서는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랜카드도 당연히 탑재되어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 이더넷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은 잘못된 사실이에요.

.

하지만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없기에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와이파이와 셀룰러 네트워크(LTE, 5G)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합니다.

반응형

LAN은 구성 방식에 따라서

4가지로 구분 가능한데요

네트워크 토폴리지(Topolgy)라고도 합니다

여기서 토폴리지는

형태에 따른 다양한 설계 방법이라 합니다.

랜의 종류별 특성은 접은글에 넣어뒀으니

궁금하시면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링형(Ring Topology)

 

앞의 컴퓨터에서 받은 내용을

다음 컴퓨터로 재전송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토크패싱(Token Passing)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네트워크 전송 상의 충돌이 없고,

노드가 늘어나도 성능의 저하가 적습니다

단점은 노드의 추가가 어렵고 노드의 문제 발생 시

전체 네트워크의 중단 가능성이 있습니다

 

 

더보기

 

토큰패싱???

 버스 또는 토큰  같이 토큰 

사용하는 근거리 통신망에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데이터와 함께 토큰 전달하면 데이터를 수신한 곳에서 

다음에 데이터를 전송할  있도록 하는 방법

 

버스형(BUS Topology)

하나의 통신회선에 여러 컴퓨터를 연결해서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모든 장치들이 동등한 조건입니다

한 번에 한 컴퓨터만 전송 가능하고

연결된 컴퓨터 수에 따라서 네트워크 성능을 좌우합니다

신호반사에 의해 상호 간섭을 막기 위한 종단에는

위의 그림과 같이 터미네이터(Terminator)가 존재합니다.

 

단점은 장비 수가 많아지면 네트워크 성능이 저하됩니다.

중앙 케이블고장나면 네트워크 전체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재구성이나 결합, 분리가 어렵습니다

베이스밴드 전송 방식에서는 케이블 거리가 멀어지면

신호가 점점 약해지며, 중계기를 사용해야 됩니다..

한 노드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다른 노드에서

이미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으면

충돌이 발생하므로 나중에 다시 보내야 합니다.

트리형(Tree Topology)

 

나무가 가지를 뻗어 나가듯,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여러 개의 디바이스를 향해

네트워크가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형태입니다.

허브만 있다면 많은 네트워크를

한 번에 쉽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특정 디바이스의 고장 시

해당 계층 이하의 디바이스 작동

불가하게됩니다.

 

 

스타형(Star Topology)

중앙컴퓨터 중심으로

각 컴퓨터가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중앙 제어기(집중화 장비)를 중심으로

Point-to-Point 방식으로 연결됩니다.

 

단점은 중앙에 있는

전송제어장치에 장애가 있으면

네트워크 전체가 동작할 수 없습니다.

통신량이 많으면 전송이 지연됩니다.

다른 접속 형태(트리형, 링형, 버스형)보다

많은 케이블을 연결해야 합니다.

최초로 설치할 때 케이블 링에 소요되는 비용과 노력이 큽니다.

 

그물형(Mesh Topology)

스타형과 링형을 합쳐놓은 형태로

각 네트워크 장비가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상호 간의 그물 형태로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하나의 통신 회신이 고장나더라도,

점대점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네트워크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단점은 작업공간이 많이 필요하며,

설치 비용도 많이 듭니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공유기는 대부분 무선 랜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회선종단장치와 일체형인 공유기도 존재합니다.

 

한 문장 정리

공유기는 네트워크와 네트워크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장치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